2025년 5월, 확률형 아이템 논란 속, 구독제·광고 기반 등 다변화 시도 활발
2025년 5월, 모바일 게임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과 함께 과금 모델 또한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다. 과거 ‘부분 유료화’라는 이름 아래 확률형 아이템 중심의 과금 모델이 주를 이뤘으나, 과도한 경쟁 심화와 확률 조작 논란 등으로 인해 게이머들의 불만이 고조되면서 새로운 과금 모델에 대한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이에 게임 업계는 구독제, 광고 기반, NFT(대체 불가능 토큰) 도입 등 다양한 시도를 통해 ‘착한 BM(Business Model)’을 모색하며 게이머들과의 건강한 공존을 위한 실험을 이어가고 있다.
여전히 논란의 중심, 확률형 아이템의 명암
대부분의 모바일 게임에서 핵심적인 수익 모델로 자리 잡은 확률형 아이템은 여전히 뜨거운 감자다. 낮은 확률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성능을 가진 아이템을 얻기 위해 과도한 지출을 유도한다는 비판과 함께, 확률 조작 의혹, 정보 불투명성 문제 등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일부 게임사들은 확률 공개 의무화, 천장 시스템 도입 등 자율 규제를 통해 게이머들의 불만을 잠재우려 노력하고 있지만, 여전히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는 미흡하다는 지적이 많다. 특히, ‘페이 투 윈(Pay to Win)’ 요소가 강한 게임들의 경우, 과금 유도 행위가 게임의 재미를 저해하고 사용자 이탈을 부추기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며 업계의 자성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는 구독제 모델
확률형 아이템의 대안으로 구독제 모델이 점차 확산되는 추세다. 월정액 방식으로 일정 금액을 지불하면 게임 내 재화, 아이템, 편의 기능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는 구독제는 사용자에게 예측 가능한 소비 환경을 제공하고, 게임사에게는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마련해 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리니지M’, ‘오딘: 발할라 라이징’ 등 일부 대형 MMORPG에서 구독제 모델을 도입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으며, 캐주얼 게임이나 인디 게임에서도 구독제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려는 시도가 늘고 있다. 다만, 구독 혜택의 매력도가 낮거나, 기존 확률형 아이템 과금 모델과 병행될 경우 사용자들의 반발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점은 극복해야 할 과제다.
광고 시청형 과금 모델의 가능성과 한계
무료로 게임을 즐기는 대신 광고 시청을 통해 보상을 얻는 광고 기반 과금 모델 또한 주목받고 있다. 주로 캐주얼 게임이나 하이퍼 캐주얼 게임에서 많이 활용되는 이 모델은 사용자의 과금 부담을 최소화하고 사용자층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과도한 광고 노출은 사용자 경험을 저해하고 게임의 몰입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적절한 광고 빈도와 사용자에게 매력적인 보상 제공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광고 기반 과금 모델의 성공 여부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광고 시청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광고 시청 보상을 다양화하는 등 사용자 친화적인 광고 모델을 구축하려는 노력이 나타나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 접목, NFT 게임의 등장과 논란
최근에는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한 NFT 게임이 새로운 과금 모델로 떠오르고 있다. 게임 내 아이템이나 캐릭터를 NFT 형태로 소유하고, 이를 게임 외부에서 거래하거나 다른 게임과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는 사용자에게 게임 자산에 대한 소유권을 부여하고 새로운 수익 창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일부 게이머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NFT 게임은 높은 초기 진입 장벽, 투기성 논란, 게임 경제 시스템 붕괴 우려 등 다양한 문제점을 안고 있어 아직까지 주류 과금 모델로 자리 잡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많다. 향후 NFT 게임이 지속 가능한 생태계를 구축하고 기존 게임과의 공존을 모색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착한 BM을 향한 업계의 고민과 노력
결국, 지속 가능한 모바일 게임 생태계를 위해서는 게이머와 게임사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착한 BM’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과도한 과금 유도 행위를 지양하고, 게임의 재미를 해치지 않으면서도 합리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업계의 고민과 노력은 계속될 것이다.
최근에는 사용자 중심의 과금 모델을 설계하기 위해 사용자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고, 게임 내 경제 시스템의 균형을 신중하게 고려하는 등 이전과는 다른 접근 방식을 보이는 게임사들이 늘고 있다. 또한, BM 설계 단계부터 투명성을 확보하고, 사용자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신뢰를 구축하려는 노력 또한 중요하다.
사용자 중심의 건강한 게임 생태계 구축이 미래 과제
2025년 5월, 모바일 게임 과금 모델은 여전히 다양한 시도와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확률형 아이템의 논란은 지속되고 있지만, 구독제, 광고 기반, NFT 등 새로운 모델들이 대안으로 떠오르며 시장의 다변화를 촉진하고 있다. 결국, 성공적인 과금 모델은 게임의 재미를 유지하면서도 사용자의 합리적인 소비를 유도하고, 게임사와 사용자 간의 신뢰를 구축하는 데서 찾아야 할 것이다. 사용자 중심의 건강한 게임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업계의 지속적인 고민과 노력이 앞으로 모바일 게임 시장의 미래를 결정지을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